신종코로나 검사비용과 검사방법
본문 바로가기
건강/질병

신종코로나 검사비용과 검사방법

by VQ 2020. 2. 24.

신종코로나로 불리는 코로나19의 확진자가 작성일 기준 833명이 되었습니다.

8번째 사망자도 발생했는데요.

이 추세라면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위기경보가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되기도 했죠.

확진자가 점점 증가하면서 국민들의 걱정도 커져가고 경제도 위축되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죠.

 

그래서 정부는 코로나19 비상상황에 대하여 추경예산 편성을 검토 중입니다.

 

또 코로나 19로 피해받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에게 3,228억 원의 금융지원이 이뤄졌다고 합니다.

 

예방하기 위하여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꼼꼼하게 손을 씻어야 합니다.

 

기침할 땐 손에 하시면 안 되고 마스크는 반드시 착용하셔야 됩니다.

 

 


만약 고열이나 기침이 발생되어 코로나 19가 의심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1339 질병관리본부 콜센터나 지역 보건소로 전화하셔서 상담하시면 됩니다.

코로나 19는 초기 증상이 기침, 발열 등으로 감기와 유사합니다.

 

치료제가 나온 건 아니지만 조기 발견하면 충분히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라고 정부가 밝혔죠.

 

경미한 발열이나 기침 발생 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을 자제하고 하루 이틀 경과를 관찰하며 휴식하셔야 합니다.

 

바로 응급실과 병원에 방문하기보다 관할 보건소나 1339 콜센터와 상담하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아래 신종코로나 검사비용 쪽에 링크에 들어가면 선별진료소 확인이 가능합니다)

 

 

신종코로나 검사비용

보건소 124곳에서 신종코로나 검사가 가능해집니다.

정부는 검사 가능한 보건소와 의료기관을 점차 확대할 예정이고요.

중국을 방문한 후 14일 이내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발생 시 검사받을 수 있습니다. 

또 방문 이력이 없다고 해도 의사 소견에 따라 무료로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네요.

기존에는 기본적으로 10만 원이 넘는 검사비용과 격리병실 사용에 따른 비용이 많이 들어갔다고 합니다. 

정부는 질병 확산에 대처하기 위해 선별 진료소가 설치하여 보건소와 의료기관에서 검사가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1339나 보건소에 연락하셔서 방문 전에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http://ncov.mohw.go.kr

 

http://ncov.mohw.go.kr/

 

ncov.mohw.go.kr

해당 사이트에서 가까운 선별진료소 찾기를 통해 선별진료소 검색이 가능합니다.

 

작성일 기준 전국에 566개의 선별진료소 리스트가 있습니다.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신종코로나 검사비용, 검사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코로나19의 전파를 막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노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도 개인위생을 깨끗하게 지키시고 마스크 꼭 쓰시길 권해드립니다.

 

건강관리에 유의하셔서 아무쪼록 무탈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